 |
-논문-
⦁ 변도화 외 1인(2008): 진폐증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.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,17(2),202-209.
⦁ 변도화 외 7인(2011): 신종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한 손씻기 수행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연구.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,13(1). 16-22.
⦁ 변도화 외 3인(2011): 여고생의 문제행동양상과 문제행동 영향요인. 지역사회간호학회지,22(3), 315-324.
⦁ 변도화 외 6인(2011): 소방공무원의 주관성에 관한 연구. 한국산학기술학회지, 12(10), 4475-4483.
⦁ 변도화(2013):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가 지각한 서비스의 질 측정을 통한 중요도와 성과도 분석. 한국산학기술학회지,22(1), 1-11.
⦁ 변도화 외 2인( 2013): 스트레스완화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 가족의 부담감, 불안, 우울,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.
⦁ 변도화 외4인(2013): 웃음요법이 농촌여성노인의 혈압,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. 한국산학기술학회지, 14(4), 1810-1819.
⦁ 변도화 외 1인(2013):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하에 제공되는 방문간호 서비스의 중요도와 성과도. 지역사회간호학회지, 24(3), 332-345
⦁ 변도화 외 1인(2014). SERVQUAL을 적용한 일 보건소 이용자의 보건의료서비스 질적 수준 평가, 한국보건간호학회, 28(3). 553-564.
⦁ 변도화(2015).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방문간호센터 운영의 활성화 방안, 한국보건간호학회지, 29(2). 203-218.
⦁ 변도화 외 1인(2015). 노인요양시설의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여향, 한국노년학연구, 24, 133-148.
⦁ 변도화(2016). 간호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이미지, 가톨릭상지대학교 논문집,
⦁ 변도화 외 1인(2017). 죽음준비교육이 간호학생들의 생의 의미, 죽음과 웰다인,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, 한국산학기술학회지, 18(5), 169-176.
⦁ 변도화(2017). 일 대학 간호학생들의 학습유형 별 문제중심학습의 효과, 한국산학기술학회지, 18(8). 106-114.
⦁ 변도화(2019). 계획된 행동 이론을 적용한 화재안전교육이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화재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, 한국화재소방학회, 33(1). 147-155. |